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휘어지고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또는 p-OLED (plastic OLED) 라고 함.
ex. 언브레이커블 / 커브드 / 벤디드 / 폴더블 / 롤러블 /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언브레이커블 : 깨지지 않는 특성
-커브드 : 휘는 특성
-벤디드 : 구부릴 수 있는 특성
-폴더블 : 접을 수 있는 특성
-롤러블 : 돌돌 말 수 있는 특성
-스트레쳐블 : 늘일 수 잇는 특성
플렉시블이 가능한 이유
1. 유리 기판 대신 PI(폴리이미드) 기판 사용
POLED는 기존의 유리 기판 위에 PI 용액(액체 상태)을 얇게 코팅한 후 오븐에서 경화 시킴
봉지 공정 이후 LLO(Laser Lift Off) 공정을 통해 유리 가판을 떼어내고, 얇은 PI 기판을 지지할 수 있는 보호 필름 부착함
** LLO(Laser Lift Off) 공정
레이저를 기판 하부에 조사해 PI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유리 기판을 떼어내는 공정
이 과정에서 공정 이슈 발생
2. 유리봉지 대신 박막봉지(TFE) 활용
봉지 공정 시 단단한 봉지 유리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얇은 두께의 유기물과 무기물을 겹겹이 적층하는 방식 사용
** TFE(Thin Film Encapsulation) 공정 : 잉크젯 프린팅 방식
TFE는 무기막/유기막 번갈아 적층하여 외부로부터 오염물질 침투 막는 기술
무기막은 침투 막아주지만 1개만으로는 핀홀이라 불리는 취약부분이 존재, 여러겹 겹쳐야함
무기막 특성상 표면이 고르지 못해 무기막 사이에 유기막 삽입해 무기막이 안정적으로 쌓이도록 도와줌
POLED 공정 순서
1. 유리 기판 위에 PI 용액 코팅 후 경화
2. TFT, OLED 증착
3. TFE 공정
4. LLO 공정
POLED 특징
-일반적인 OLED보다 훨씬 복잡하고 어려운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제작 단가가 높음
-사고가 났을 때 잘게 깨지는 (유리)G-OLED 보다 안전해서 각광받고 있음
-각 나라의 특성에 따른 극한 환경에서도 유기물이 동일한 성능을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아직 한계가 있음
-빛반사 최소화, 시야각, 휘도, 난연성 등의 조건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