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 하나의 픽셀에 전선이 연결되어 하나하나 직접 제어하는 방식
Ex) 엘리베이터 층수 표시부, 디지털 시계
장) 소비전력 적음, 제조비용 저렴
단) 복잡한 정보 표시하기에는 어려움
Scan Driver IC가 차례로 원하는 줄을 선택하고, Data Driver IC가 정보를 넣고자하는 줄에 신호를 넣는 방식
신호에 맞게 전극에 걸리는 전압을 조절해서 액정을 움직여 BLU로부터 나오는 빛, 디스플레이로 들어와 반사되어 나가는 빛의 투과량을 조절(PM-LCD)
유기 발광체에 전류를 흘려보내 발광 시켜 정보 표현(PM-OLED)
대부분 TN 방식
Ex) 공학용 계산기, 전광판
장) AM에 비해 소비전력 낮음, 제조비용 저렴
단) 해상도가 증가할수록 대비비가 낮아짐
Gate driver ic가 gate line에 신호를 차례로 넣어줌, gate line에 걸린 전압은 TFT라는 스위치 켜는 역할
스위치가 켜져 선택된 줄에 data driver ic에서 data line을 통해 정보를 넣어주는 방식
TFT(스위치 역할), 저장 캐퍼시터(정보를 1프레임동안 저장)이 있음
IPS 방식
Ex) 노트북, 모니터, 휴대폰, 스마트워치 등
장) 트랜지스터가 있어서 PM구동의 크로스토크 현상 최소화
저장 커패시터가 있어서 다음 가로줄이 선택되더라도 꺼지지 않고 켜져 있을 수 있음
OLED 발광 방식 (배면 발광 / 전면 발광) (0) | 2022.01.31 |
---|---|
LCD 모드 (TN / VA / IPS) (0) | 2022.01.29 |
OLEDos (0) | 2022.01.23 |
WOLED와 M+기술 (0) | 2022.01.22 |
미니 LED vs 마이크로 LED (0) | 2022.01.21 |
댓글 영역